+더페스티벌 즐겨찾기 추가
  • 2025.05.05 (월)
 축제뉴스 축제뉴스전체
남해 죽방렴 FAO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도전 현장실사
김영옥 기자    2025-05-05 08:42 죄회수  45 추천수 1 덧글수 0 English Translation Simplified Chinese Translation Japanese Translation French Translation Russian Translation 인쇄  저장  주소복사

남해 죽방렴, FAO 세계중요농업유산 등재 도전 

5월 현장실사 앞두고 지역 어촌·농업 연계 생계모델 주목

남해군이 자랑하는 전통 어업 방식인 ‘죽방렴’이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를 향해 한 걸음 더 나아간다. 오는 5월 12일, FAO 실사단이 남해 지족해협을 방문해 현장 실사를 진행할 예정이며, 죽방렴과 이를 기반으로 한 남해군의 지속가능한 농어업 생계 시스템이 집중 조명된다.

죽방렴은 조류가 빠른 해역에 대나무를 엮어 만든 어살을 설치해 물살을 따라 이동하는 어류, 특히 멸치를 포획하는 전통 어법이다. 500년 이상 전승되어 온 이 방식은 생태계 파괴를 최소화하고, 어획물의 품질을 유지하는 어업의 모범으로 꼽힌다. 그 가치로 인해 2010년 명승, 2015년 국가중요어업유산, 2019년 국가무형유산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지족해협 일대는 죽방렴뿐 아니라 농업과 어업을 연계해 지역 주민의 생계를 꾸리는 대표적 복합 생계모델 지역이다. 남해군은 유자, 마늘, 시금치 등 특산물 재배와 병행한 자급적 농어촌 경제를 구축해왔으며, 이러한 전통 지식과 생계 방식의 통합은 FAO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지정 기준에 부합하는 핵심 요소다.

FAO 실사단은 이번 현장 실사에서 죽방렴의 구조와 작동 방식, 지역 주민의 어업 활동, 그리고 농업과의 연계 구조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예정이다. 실사 일정에는 지족해협 일원의 죽방렴 현장체험, 인근 농업 소개, 지역 주민 인터뷰 등이 포함된다.

남해군은 이번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가 단순한 어업 유산 보호를 넘어, 지역 경제와 생태 보전, 그리고 전통 지식의 국제적 인정이라는 측면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고 강조한다. 특히 세계유산 등재 이후에는 어촌·농촌 관광 활성화, 전통 생계 시스템에 대한 학술·교육적 활용 등 다양한 파급 효과가 기대된다.

 남해군 관계자는 “죽방렴은 자연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슬기로운 어업 방식이며, 지역민들의 삶과 뗄 수 없는 공동체 자산”이라며 “이번 FAO 실사가 남해의 전통이 세계로 뻗어나갈 수 있는 도약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태그  
 이전기사       메일       인쇄       스크랩
  목록으로 수정    삭제
덧글쓰기 댓글공유 URL :  
등록된 덧글이 없습니다.
축제포토 더보기
인터뷰  
청소년을 위한 공연예술축제 [인터...
국내에는다양한공연예술축제들이있다.하...
인기뉴스 더보기
남해 죽방렴 FAO 세계중요농업유산...
모두투어 기획전 코카서스 세계문...
WALKNIC 축제 2025 스프링워크서울...
축제리뷰 더보기
은평한옥마을 북한산뷰 진관사 ...
부여세도 유채꽃 힐링 낙화놀이 ...
천안 원성천 벚꽃축제 2024년과 ...
강릉 선교장 사대부 저택은 어떨까